홍보센터

장헌산업은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환경 친화적인 시설물 창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Q.
Pre Girder
Pre Girder 제작시 왜 이동식 반력대를 사용하나요?

Pre Girder는 Pre-tension 거더로 거더 제작시 강선 긴장작업을 위해 어떤 형태로든 반력대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공장에서 거더를 제작하는 경우, 고정식 반력대가 경제적이지만 현장으로 거더를 운반하는데 길이(L=15m)와 중량(40t)에 제약이 있습니다.


현장에서 고정식 반력대를 설치하여 거더를 제작하는 경우, 거더 운반에 대한 제약조건은 없으나 거더 제작 완료 후 반력대 철거시 발생하는 산업폐기물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Pre Girder제작시 고정식 반력대 적용시 발생할 수 있는 운반 제약, 산업폐기물 발생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경제성, 접근성 및 환경 친화적으로 우수한 이동식 반력대를 사용합니다.

이동식 반력대

Q.
Pre Girder
Pre Girder의 복부 두께 150mm는 너무 얇지 않나요?

Pre Girder는 거더 단부의 상연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단부의 하부플랜지 두께를 키워 형고를 높임으로써 강선의 편심이 작아지도록 개발된 거더로 중앙부 보다 단부의 형고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Pre Girder는 복부에 쉬스관 설치가 필요 없는 Pre-tension 거더로 강선이 하부 플랜지에 직선으로 배치되어 복부두께의 제약이 없습니다.


따라서, 거더의 자중을 감소시키고 효율적인 단면이 될 수 있도록 복부두께를 150㎜로 최적화하였습니다.

거더 단면 형상 및 강연선 배치

Q.
Pre Girder
Post-tension Girder 대비 Pre Girder의 장·단점은 무엇입니까?

PSC Girder는 긴장력 도입 방법에 따라 Pre-tension 방식과 Post-tension 방식으로 나누어집니다.


Post-tension 방식의 경우, 거더 내부에는 쉬스관을 단부에는 정착장치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강연선을 삽입하여 긴장함으로써 반력대가 필요 없는 PSC Girder 형식입니다.
따라서, 쉬스관, 정착장치 등의 부속품이 필요하며, 그라우팅 등 추가 공정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현장 근처에서 제작하므로 거더의 운반과 가설이 용이하고, 거더 제작 단가는 본수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Pre-tension 방식의 경우, 반력대를 이용하여 강선을 긴장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강선을 절단하여 긴장력을 도입하는 PSC Girder 형식입니다. 따라서, 쉬스관, 정착장치 등의 부속품이 불필요하며, 추가 공정이 없습니다.
하지만, 공장에서 제작하는 경우 거더 운반시 길이 및 중량에 제약이 있으며, 현장에서 제작하는 경우 반력대 설치에 따른 비용이 거더 제작 본수에 따라 제작 단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Pre-tension 방식의 Pre Girder는 Post-tension 방식의 PSC Girder에 비해 자재비(정착구, 쉬스관 등)가 감소되어 경제적이나, 이동식(혹은 고정식) 반력대를 사용함에 따라 반력대의 운반, 설치, 해체와 거더의 현장내 소운반 등 제작비가 상승하게 됩니다.
따라서, Pre Girder는 제작 규모가 일정 규모(약 30본) 이상인 경우에만 Post-tension 방식의 PSC Girder보다 약 10~20%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Q.
Pre Girder
제작장의 운용장비(크레인, 반력대) 규모 및 넓이는 어떻게 계획하나요?

제작장의 장비 운영은 거더의 연장에 따라 사용하는 장비의 규격이 유동적이며, 생산규모에 따라 하이드로크레인을 사용하거나 이동시 겐트리크레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작장 규모는 거더 제작 물량과 이동식 반력대 및 철근 조립대 설치 대수에 따라 유동적입니다. 예를 들면 1본/일 생산을 기준으로 반력대 1대 설치시 B=12m, L=거더길이+20m가 소요되며 제작된 거더의 야적장은 별도로 준비되어야 합니다.


거더 제작 규모에 따른 장비와 제작장 크기는 당사의 공사 담당자에게 연락하시면 자세한 사항을 설명 드리겠습니다.